빌라를 보러 갈 때 뭘 체크해야 돼요?

2021. 3. 20. 03:38·정보/부동산
목차
  1. 빌라 보러갈 때 체크해야 될 사항들
  2. 이 중 가장 중요하게 봐야 될 것은?
  3. 마음에 드는 집을 찾았으면 바로 계약해도 될 까?
반응형

직접 빌라를 보러다니며 느꼈던, 빌라를 보러 갈 때 체크해야할 사항들에 대해 꼼꼼히 정리했습니다.

 

빌라 보러갈 때 체크해야 될 사항들

  • 빌라를 볼 때 봐야하는 것들은 정말 많이 있습니다.
    내가 정말 살 집이라고 했을 때 사소한것 하나하나 꼼꼼히 봐야하지만 또 부동산 중개사와 같이 갔을 때 집주인 사정상 혹은 어떤 이유로 시간상 제약이 있어 꼼꼼히 따져보지 못 할 경우도 생기니 빌라를 보러다녔던 경험이 많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빌라 보러가기 전에 우선 밑에 적은 것들을 숙지하시는게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곰팡이

  • 대체적으로 안방이나 뒤쪽 세탁실 방 등의 천장에 곰팡이가 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런 경우 집주인이 환기를 잘 하지 않은 관리상의 문제인건지 아니면 집 건물 앞뒤로 다른 빌라 건물이 가까이 붙어있어서 환기가 잘 되지 않는건지, 집 앞뒤로 바로 다른 건물이 붙어있어 환기가 잘 되지 않아 곰팡이가 잘 생길 수밖에 없는 위치인지를 따져보셔야합니다.

  • 누수 흔적

  • 대체적으로 가장 위층, 즉 빌라 탑층일 경우 조금 더 꼼꼼히 고려하셔야 할 부분이나 이것도 마찬가지로 벽지가 울었던 흔적이 있는지 천장쪽에 누수 흔적이 있는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부동산 중개사분께서 꼼꼼히 확인해주시거나 집주인이 말해주는 게 맞지만 보통은 말해주지 않습니다...)
  • 직접 확인하고 문제가 있다면 벽지를 다시한다고하여 그 비용만큼을 깎거나 수리한 후 매매한다든지 조건을 붙여 확실하게 하는게 좋습니다.

  • 결로

  • 이 부분은 샤시를 조금이라도 열어놓아 공기 순환을 잘 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그러나 아이를 키우는 집에서는 아이가 추울까봐 겨울에 샤시를 열지 않고 난방을 오랜시간 때워 결로가 생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빌라는 베란다가 없는 경우가 많아 결로에 관한 부분은 샤시 전체에 물방울이 맺힐 정도로 심각한게 아니라면 어느정도 감수하셔야 될 부분이기도 합니다.

  • 방 길이, 평면도

  • 아파트는 호갱노노 어플이나, 네이버 부동산에서 아파트 검색을 하여 평면도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 보통 치수까지 나와있는 경우가 많아 이 아파트에 서비스 면적이 있는지(팬트리룸, 드레스룸 등) 방 크기는 어느정도인지 가늠해볼 수 있으나 빌라는 그런게 없습니다.
  • 유일한 방법으로 유튜브나 네이버 블로그 등에 부동산이나 빌라 업자가 올려놓은 자료들을 통해 눈대중으로 가늠해볼 수 있는데요, 특별히 방에 어떤 가구를 두어야 하는 등 정확한 사이즈 실측이 필요하시다면 줄자를 갖고가셔서 측정하시는게 좋습니다.
  • 마찬가지로 방을 보실 때에도 우선은 아파트를 기준으로 삼아 2베이, 3베이, 4베이(요즘 신축 중에는 4베이도 있습니다) 여부도 확인해보시고, 화장실은 어떻게 구조를 빼두었는지 다용도실 위치는 어디인지 확인해두시는 게 좋습니다.
  • 화장실에 창문이 있어 빌라 전면 베란다쪽으로 나있거나 한다면 화장실과 맞닿아있는 방의 벽에 결로가 생길 위험도 있어 화장실 위치도 꼼꼼히 따져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 입지

  • 신혼부부의 경우 기본적으로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소아과 등 아이를 키우기 좋은 환경인지를 따져보시는게 중요하고, 직장인은 역세권 교통이 편리한지를 따져보셔야 합니다. 또 유흥가와 너무 가까이에 있으면 특히 여름에 취객들의 고성방가 등으로 인해 힘들 수 있습니다.
  • 고속도로나 교통이 혼잡한 도로가 바로 앞에 있더라도 차량으로 인한 소음이 상당히 거슬릴 수 있습니다.

  • 수압

  • 대부분 문제 없지만 수압은 꼭 체크해보셔야 합니다. 싱크대, 화장실, 그리고 다용도실은 꼭 체크해보세요.

  • 관리비

  • 관리비가 지역마다 다르긴 한데요, 요즘은 쓰레기 분리수거랑 계단 청소 등 간단한 청소까지 해주는 것을 업체를 통해 해결합니다.
    그래서 각 세대당 한 달에 1~2만원 정도 부담하면 되는데요 지역에 따라 3~4만원까지도 부담합니다.
    여기에 엘리베이터가 있는 빌라라면 4~5만원까지도 부담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에 비해서는 저렴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관리해주시는 분을 보통 총무라고 부르는데, 빌라 내에서 대표를 한명 뽑아서 그 분께서 빌라 전반적인 보수관리를 맡곤 합니다.
  • 총무님을 뽑으실 때 중요한 점은 빌라 건물에 관심이 많고 꼼꼼한 분으로 뽑으시는게 좋습니다.
    그래야 기본적인 관리 외에 전반적인 관리가 잘되고 관리가 잘 되어야 나중에 빌라를 팔고 떠날 때도 잘 팔립니다.
    예를 들면 빌라 외벽에 크랙이 가거나 외벽에 타일이 깨지거나하면 세대원들은 직접적으로 내 집과는 관련이 없어 넘길 수 있지만 총무님께서 이런 부분 꼼꼼하게 관리해주신다면 나중에 매매할 때 집을 보러오시는 분들도 외관이 관리가 잘 되어있기에 긍정적으로 보게 됩니다.
    실제로 이런 부분을 신경쓰지 않은 빌라는 5년만 지나도 상당히...노후화되어있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에도 좋죠.^^
  • 그리고 총무님들께 한가지 팁은 기왕이면 관리비를 걷을 때 분리수거나 현관 공용 전기 등 딱 필요한 관리비만 걷지 마시고, 몇 천원정도라도 더 여유있게 걷으셔서 돈을 좀 모아두셨다가 나중에 건물 하자가 생겼을 때 쓰시는게 좋습니다.
  • 모아둔 돈으로 비용이 모자라더라도 평소에 조금씩 모아뒀으면 세대당 부담해야 할 하자보수 비용이 줄어드는데, 평소에 딱 필요한 관리비만 걷다가 하자보수할 일이 생기면 세대당 부담하는 액수가 커져 반발이 커지게 됩니다. 그래서 평소에 세대당 매달 2만원이 필요하다면 2만 5천원씩 걷는 등 약간 더 걷으셔서 하자보수비용으로 모아두시는게 좋습니다.

  • 세대 수

  • 한 건물에 몇 세대가 사는지, 또 건물이 하나만 있는게 아니라 여러 동이 있는 단지형 빌라라면 총 몇 세대가 거주하는지 파악하는게 좋습니다.
  • 이 점에서 단지형 빌라가 장점이 있는데요, 단지형 빌라는 빌라 한 건물이아닌 50~200세대 가량이 같이 살기 때문에, 아파트 처럼 관리가 가능한 것이 장점입니다.

  • 주차장

 

  • 주차가 원활한지, 일렬주차(앞뒤로 주차하여 앞차가 차를 빼야 차가 나갈 수 있는 상황)가 필요한 주차장인지, 그리고 빌라 입구로 들어올 때 차단기가 있어 입주민들만 이용할 수 있는지(혼잡한 도심 근처에 있는 빌라라면 입주민이 아닌 사람들이 차를 대는 경우도 많아 잦은 마찰 발생), 주차장이 필로티 구조로 되어있어 최소한 비오는날 비를 막을 수 있는지 등도 파악하시는게 좋습니다.

  • 위반 건축물인지

(위 사진은 이런 상태의 건축물들이 위반 건축물에 해당 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 말씀드리는 것으로 사진상의 건물의 실제 위반 여부와는 무관합니다.)

  • 이 부분은 따로 상세하게 다루겠습니다만 위반 건축물을 매매하게되면 대출이 안나오는 상황이 생기거나 나중에 이행강제금 및 원상복구 명령이 떨어져 내가 위반건축물로 만든 것이 아님에도 상당히 마음 고생, 금전적 고생을 할 수 있습니다.
  • 이왕이면 문제 없는 건축물을 구매하시는게 낫습니다.

  • 층고

  • 대부분의 빌라는 아파트와 같이 2.3~2.4m정도의 층고를 가졌는데요 요즘 지어지는 신축들은 2.6m가량의 층고를 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복층의 경우 층고가 상당히 높아 4m가 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확하게 길이를 잴 필요까지는 없으나 높이가 높은 운동기구 등을 둬야한다거나 하시는경우라면 집을 보러가실때마다 손을 천장으로 뻗어서 어느정도가 남는 지 눈대중 정도로는 체크해보시는게 좋습니다.
  • 하자보수예치금 사용 여부

  • 요즘은 빌라를 지을 때 하자를 대비하여 하자보수예치금을 빌라를 짓는 업자쪽에서 예치해두도록 해놓았습니다.
    그래서 신축 빌라를 분양받고나면 이 예치금을 뽑아서 기본적인 옥상방수공사나 기타 목적에 맞게 보수를 진행하시면 되는데요, 이 예치금도 목적에 맞게 뽑아쓸 수 있는 금액이 다 달라서 신축이 아닌 빌라에 가시더라도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년식이 10년 이내라면 한번쯤 꼭 하자보수예치금 사용 여부를 확인하시는게 좋고, 확인 못하셨더라도 총무님께 한번 여쭤보셔서 확인해두시는 게 좋습니다.

  • 옥상이 방수공사가 되어있는지 지붕으로 덮여있는지

  • 신축빌라 중에는 옥상을 방수공사를 안하고 분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방수공사를 할 예정인지 아니면 하자보수 예치금을 통해 방수공사를 진행하면 되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또한 방수공사는 한번했다고 끝이 아니고 주기적으로 관리해줘야하므로 탑층에 사실 예정이라면 방수공사를 했다면 언제했는지 체크하시고 주기적으로 옥상에가셔서 금이 간 곳은 없는 지 상태도 한 번씩 보시는 게 좋습니다. 누수 문제가 생기면 골치아파집니다...지붕 형태라면 상대적으로 이런 문제는 덜합니다.

  • 이렇게 집을 보러갈 때 따져보셔야할 것들이 정말 많습니다.
    사실 집 한 번 보러가서 위에 것들을 모두 따져보기는 힘듭니다.
    더욱이 집주인이 직접 살지 않고 세입자가 살거나 공실일경우 부동산을 통해서 물어보셔야하는데 부동산이 이렇게 꼼꼼하게 다 확인해주지는 않거든요...이럴 경우 계약서를 작성하는 날 궁금하셨던 것들을 물어보신다든 지 하셔서라도 어느정도는 확인해두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이 중 가장 중요하게 봐야 될 것은?

  • 우선순위를 따지자면 당연히 가장 중요한 것은 살기에 문제가 없는 집인가? 입니다.
  • 가장 중요한 것으로 곰팡이, 결로, 누수 여부를 따지시고
  • 수압 / 주차 가능여부 / 집 도배 장판 상태 정도를 따지신 후에 마음에 드시는 집이라면 다음날 다시 방문하여 남은 것들을 꼼꼼히 체크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마음에 드는 집을 찾았으면 바로 계약해도 될 까?

  • 빌라는 매물이 그렇게 빨리빨리 빠지는 것이 아니라 그날 바로 계약까지 할 필요는 없습니다.
  • 마음에 드는 집이라고하더라도 최소 두 번은 방문하여 집 상태를 보시고, 부모님과 같이가셔서 보시는 것도 좋으며 그런 후에 마음에 드시면 계약일을 잡으시면 됩니다.
  • 계약일 부동산에서 등기를 뽑아 근저당(대출) 잡힌 사항이 있는지 여러가지 체크해 줄 것이지만 집에서도 700원만내면 대법원 등기소 사이트 www.iros.go.kr/PMainJ.jsp 를 통해 등기를 뽑아볼 수 있습니다.
  • 또한 정부 24 사이트를 통해 건축물 대장정도는 떼어볼 수 있으니 미리 체크를 하고 가시는 게 좋습니다.
    한두푼 하는 집이 아니니까요^^.
  • 빌라를 보러갈 때 체크하셔야할 사항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내용이 많아 추후 빌라에 대한 여러가지 궁금증에 대한 답변, 빌라와 아파트의 차이점, 타운하우스와 빌라의 다른 점 등에 대해 작성할게요^^.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정보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축빌라를 가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섯가지)  (13) 2021.03.20
빌라의 역사  (0) 2021.03.20
  1. 빌라 보러갈 때 체크해야 될 사항들
  2. 이 중 가장 중요하게 봐야 될 것은?
  3. 마음에 드는 집을 찾았으면 바로 계약해도 될 까?
'정보/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신축빌라를 가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섯가지)
  • 빌라의 역사
나27
나27
na27나27 님의 블로그입니다.
반응형
나27
na27
나27
  • 전체 (125)
    • 경제 (4)
      • 주식 (4)
    • 운동 (6)
    • 정보 (38)
      • 정보 (5)
      • 소식 (7)
      • 법 (0)
      • 부동산 (3)
      • 자동차 (1)
      • 복지 (0)
      • 후기 (7)
      • 독후감 (0)
    • 국제결혼 (4)
    • 역학 (0)
    • IT (66)
      • Introduction to Computer Sc.. (5)
      • HTML (5)
      • JavaScript (1)
      • Database (0)
      • Java (1)
      • JDBC (0)
      • Servlet, Jsp (2)
      • Spring (5)
      • Big-data (0)
      • Python (0)
      • C, C++ (0)
      • C# (1)
      • Unity (0)
      • Server (11)
      • 형상관리(configuration manageme.. (5)
      • Network (5)
      • PowerPoint (0)
      • Revit (0)
      • BIM (1)
      • PLC (2)
      • Virtual Machine (0)
      • 자격증 (2)
      • 자료 (5)
      • 연습 (0)
      • Excel (0)
      • PowerPoint2 (0)
      • 문제 해결 (15)
    • 기타 (7)

블로그 메뉴

  • 방명록

최근 글

hELLO· Designed By정상우.v4.5.2
나27
빌라를 보러 갈 때 뭘 체크해야 돼요?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