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 등장 이전의 프로토콜 FTP(File Transfer Protocol)NNTP(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ArchieWAIS(Wide Area Information Servers)Gopher 등이 있다 @ HTTP의 정의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약속"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까지 일련의 흐름을 결정 웹은 HTTP라는 약속을 사용한 통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 HTTP가 왜 널리 쓰이는가? 기업이나 조직 등의 방화벽 설정 문제: 지정된 프로토콜이나 포트 번호 이외의 패킷은 통과시키지 않는 기능이 있는데이로 인해 새로운 프로토콜이나 포트 번호는 따로 설정을 해줘야 된다. 많은 기업에서는 웹을 통해 액세스가 가능한데서버 구축이나 웹 사이트에의 액..
IT/Network
반응형
익스플로러의 문제점 쓰면 쓸 수록 웹사이트 간의 이동이나 웹 사이트 로그인, 페이지 이동 등을 할때 점점 느려짐 오류 발생이 잦은 편이고 작업중인 사이트가 날아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타 웹 브라우저에 비해 브라우저가 무겁고 초기 실행 속도나 페이지 넘어가는 속도 등이 상대적으로 느리다 그럼에도 익스플로러를 써야하는 경우가 있다 온라인 쇼핑은 크롬이나 기타 웹 브라우저보다 익스플로러로 하게되는 현실 -> 전자 결제 등 이것저것 설치할게 많고, 크롬이나 기타 웹 브라우저에서는 깔끔하게 접속 및 결제가 되지 않는 사이트들이 존재 그리하여 크롬이나 파이어폭스 등 다른 웹브라우저를 주로 사용하더라도 익스플로러는 예외를 대비해 남겨두는 경우가 많다 즉 웹 브라우저를 두 개 이상 설치해두는 경우가 많다 ActiveX..
네트워크 접속 장치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네트워크 어댑터, LAN 카드) 컴퓨터 네트워크에 컴퓨터를 연결시켜 주는 장치 유선 랜카드와 무선 랜카드 등으로 존재 통신규약, 즉 프로토콜을 준수하여 컴퓨터 외부의 장비와 통신하도록 하는 역할 2. 허브 여러 대의 장치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허브를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해진다 (EX.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USB 단자가 모자라 추가적인 USB 입력 단자가 필요할 때 구매하는 것은 USB 허브이다. USB 장치들을 한 단자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장치) 허브에 연결된 케이블 중 한 케이블(인터넷 선)로 신호가 들어오면 같은 신호를 다른 모든 케이블로 전달한다. 이런 동작을 플로딩(flooding)이라 하는데, 예를 들어..
Domain이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IP주소를 이용해 접속해야한다. IP주소는 알다시피 192.168.0.1과 같은 숫자로 구성되어있다. == EX. 아이피주소를 통해 네이버(www.naver.com)에 접속해보자. 네이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네이버 사이트의 아이피 주소를 알아야 하는데, 구글 CHROME의 경우 웹스토어 확장 프로그램 website ip를 설치해주면 간단하게 알아볼 수 있다 네이버에 접속하면 우측 하단에 네이버 주소가 조그맣게 보인다 그 주소를 똑같이 URL 창에 입력하면 www.naver.com를 입력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네이버에 접속할 수 있다. == 이처럼 아이피주소를 사용해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데, 아마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아이피주소로 사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