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컴퓨터 전기세를 아낄 수 있는 절전모드에 대해 설명드리려 합니다.

절전모드에 대한 글에 설명드리기 앞서, 제 얘기를 드리려 합니다. 지금도 저와 같은 분들 꽤 있으실 듯 합니다.
컴퓨터를 거의 매일같이 사용하는 저는, 매번 컴퓨터 사용을 끝내고 나면 시스템 종료 후 다시 켜서 프로그램을 재실행하고 세팅을 해야되는 부분이 너무 번거로웠습니다.
컴퓨터를 종료하는 방법은 크게 시스템 종료와, 절전모드 그리고 잠금모드를 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혹은 바탕화면 상태로 그냥 켜둔 채 모니터를 끄는 방법)
이전에는 정말 오랫동안...한 5년간? 바탕화면을 켜 둔 상태로 모니터만 꺼두곤 했었습니다. 그리고 퇴근하고 오면 모니터만 키면 바로 바탕화면이 나오니 정말 편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보안 상 문제로 가족들이 혹시나 컴퓨터를 보게 될 경우를 방지하기위해, 윈도우에 로그인 비밀번호를 설정하게 되었는데 그걸 사용하기 위해서는 잠금모드로 변경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잠금모드로 바꾼 후 모니터 전원을 끄는 방법으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이 방법은 대략 4년 정도...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사용하고서도 계속 잠금 모드를 이용했으니 이 기간 2년도 포함한 기간입니다.
참 저도...컴퓨터를 잘 아는 것 같았는데 이런 사소한 점에서 크나큰 실수를 하고 있을 줄 몰랐습니다.
이후 드디어 절전모드를 알게 되어 절전모드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절전모드를 사용하고 난 이후 관리비가 현저하게 줄어들었습니다.

물론 오로지 컴퓨터 전기 사용 요금만이 문제는 아니었을 수 있겠지만, 잠금모드로 컴퓨터를 사용했을 때와 절전 모드를 알고나서 절전모드 사용 후의 관리비가 대략 최대 2만원 까지도 차이가 났습니다. 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사용하였는데, 건물 전체 전기사용량에 따라 키로와트당 계산되는 금액이 다른 것이 문제였습니다.
여러분! 잠금 모드는 절대하지 마세요. 전기세 그대로 나옵니다.ㅠㅠ.
절전모드라는 가장 간편하고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꼭 절전모드를 이용하세요!
그럼 절전모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절전모드와 잠금의 차이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여러분이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꼭 절전모드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절전모드 | 잠금 | |
작업 중인 프로그램 종료 여부 | 실행된 상태 유지 | 실행된 상태 유지 |
컴퓨터 상태 | 시스템 종료와 비슷한 상태로 들어감. | 컴퓨터 부팅 후 아무것도 하지 않는 대기 상태와 동일. 동일한 전력 소모 |
컴퓨터 부품 작동 여부 | 팬 돌아가는 것 멈추고, 본체 작동도 중단. | 팬 돌아가며, 본체도 계속 작동 중임. |
전기 사용량 | 대략 시간당 0.7와트 / 한 달 0.5키로와트 | 대략 시간당 30와트 / 한 달 22키로 와트 |
위 표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전기 사용량이 절전모드가 월등히 적다는 점도 포인트이지만 바로 컴퓨터 부품 작동 여부입니다.
절전모드를 사용하시게 되면 팬은 컴퓨터 사용 시에만 돌아갑니다. 여러분이 하루에 컴퓨터를 8시간 사용한다고 하면, 절전모드 사용 시 하루 8시간 컴퓨터 사용 시에만 팬이 돌아가고 나머지 16시간은 팬과 모든 컴퓨터 부품들(cpu, 그래픽카드 등)은 휴식을 취합니다.
그런데 잠금을 사용하시게 되면, 팬은 24시간 돌아가고 다른 부품들도 24시간 작동하고 있습니다.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잠금으로 컴퓨터를 놔두게 되면, 하루 16시간을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이라고 했을 때 한 달 30일로 따지면, 480시간 부품을 더 사용하는 셈입니다. 1년으로 따지면 5,760시간입니다! 사용시간이 5760시간이나 많아지게 됩니다.
이와달리 절전모드를 사용하게 되면 cpu나 그래픽카드도 잠금상태와 달리 절전모드에서는 작동이 중지되니 열을 받지 않고, 더 오래 사용가능합니다. 그런고로 온도를 낮추기 위해 팬도 사용하지 않게 되니 cpu, 그래픽카드 구리스도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왜 제 케이스 팬, cpu팬과 구리스 등이 몇 년도 안 돼서 맛이 가버렸는지 이제야 이해가 됩니다.ㅠㅠ.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무조건 절전모드 사용하세요!
절전모드와 시스템 종료와의 전기세 차이점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한 달 약 0.35kw정도의 차이가 나게 됩니다. 대략 한 달에 백 원 정도의 미미한 차이가 난다고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컴퓨터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거라면 시스템 종료가 당연히 전기세 절약 측면에서 좋지만, 그게 아니라면 한 달에 백 원 정도 더 내고 절전모드를 이용하는 것이 작업효율에 더 좋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
최대 절전모드와 절전모드 차이
절전모드 말고도 최대 절전 모드라는 것도 있습니다.
최대 절전 모드는 따로 설정을 해주셔야 옵션이 보이게 되어 사용이 가능한데요, 절전모드보다 큰 장점이 있을까? 생각이 되실겁니다.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절전모드 상태에서는 키보드 엔터만 쳐도 바로 윈도우 로그인 화면이 나오는데, 최대 절전 모드는 부팅에 시간이 좀 더 소요됩니다.
그리고 절전모드와 시스템 종료와의 전기세 차이가 한 달 100원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큰 비용 절감 효과는 없고, 굳이 부팅 시간에서 손해를 보면서 최대 절전 모드를 사용할만한 장점은 없을 듯합니다.
결론
컴퓨터를 매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무조건 절전모드를 사용합시다. 컴퓨터 부품도 오래 쓸 수 있고, 전기세도 절약 가능한 점 참고해주세요!
'IT > 문제 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컴오피스 한글 입력하는데 자꾸 고어가 입력돼요 ᄁᆞᄒᆞᄂᆞᄀᆞ 사용하지 않는 고어로 인해 자꾸 불편하시죠? (0) | 2024.06.16 |
---|---|
한글 문서 작업 시 영어로 자꾸 바뀌는 문제 해결 방법! 한컴오피스 (1) | 2024.06.16 |
엑셀 파일 열 때 제한된보기로 열리지 않는 문제 해결방법(간단함) (1) | 2024.05.10 |
국민은행 PC->스마트폰 인증서 가져오기 방법(공동인증서) (0) | 2024.05.01 |
윈도우에 등록되어있는 서비스 삭제하기 (0) | 2017.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