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Network

네트워크 접속 장치, 인터넷 주소 개념 정리

반응형

네트워크 접속 장치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네트워크 어댑터, LAN 카드)


컴퓨터 네트워크에 컴퓨터를 연결시켜 주는 장치


유선 랜카드와 무선 랜카드 등으로 존재


통신규약, 즉 프로토콜을 준수하여 컴퓨터 외부의 장비와 통신하도록 하는 역할


2. 허브


여러 대의 장치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허브를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해진다


(EX.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USB 단자가 모자라 추가적인 USB 입력 단자가 필요할 때 구매하는 것은 USB 허브이다. 

USB 장치들을 한 단자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장치)


허브에 연결된 케이블 중 한 케이블(인터넷 선)로 신호가 들어오면 같은 신호를 다른 모든 케이블로 전달한다. 


이런 동작을 플로딩(flooding)이라 하는데, 예를 들어 허브에 랜 카드 여럿이 연결돼 있는데 한 랜 카드에서 허브에 연결된 케


이블로 신호를 보내면 다른 랜 카드들은 그 신호를 받고 싶은 지 여부와 관계 없이 무조건 신호를 받아야 한다.

(이 부분은 단점이 될 수도 있고 장점이 될 수도 있다)


신호를 받은 랜 카드는 자신에게 온 신호인지 확인하고 자신에게 온 신호가 아니면 무시


다수의 장치가 연결된 허브에서는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통신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비효율적인 동작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신호를 받고 싶은 랜 카드에게만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는 어떤 포트에 어떤 랜 카드가 


연결되어 있는지 기억해야 할 것이고, 따라서 내부에 저장장치가 필요할 것이고, 또 저장된 내용을 읽어 어떤 포트로 신호를 


내보내야 할 지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것이며, 이런 동작을 하도록 장비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장비 가격이 


더 비싸질 것이므로 이런 점에서는 단점. 이런 동작을 하는 장비를 스위치라고 한다.


3. 스위치


허브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수신장치를 인식하는 기능이 있다.(내부에 저장장치가 있다는 것). 


허브가 한 포트로 신호가 들어오면 같은 신호를 다른 모든 포트로 전달하는 것에 비해, 스위치는 신호를 필요로하는 포트로만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스위치에서는 불필요한 트래픽이 감소하게 되며, 이는 곧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의 향상


으로 이어진다.


자신과 연결된 장비들의 MAC 주소와 그 장비가 연결된 포트를 기억해 뒀다 자신이 아는 MAC 주소로 데이터가 오면 알고있


던 포트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그리고 데이터가 들어왔는데 데이터를 보낸 장비의 MAC 주소가 처음 보는 MAC 주소면 연결


된 포트와 MAC 주소를 저장해뒀다가 다른 장비가 그 MAC 주소로 데이터를 보내면 알고있던 포트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만


약 데이터를 보낸 장비의 MAC 주소는 아는 주소인데 데이터 도착지의 MAC 주소가 처음 보는 MAC 주소면 데이터를 모든 포


트로 뿌려버린다.


다수의 장치를 서로 연결하여 근거리 네트워크(LAN)을 구성할 때 자주 사용됨(ex. 학원이나 학교의 컴퓨터 20~30대 가량을 연


결하여 서로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할때 구성)


4. 브리지


두 개 이상의 근거리 네트워크(LAN)을 서로 연결할 때 사용


5. 게이트웨이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이를테면 서울과 부산 사이를 이어주기 위한 장치


또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기 위한 관문의 역할


브리지와 다른 점: 브리지는 같은 프로토콜(통신규약)을 사용하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지만,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통신규약)을 사용하더라도 프로토콜 변환 처리가 가능하다 -> 여러 유형의 하위 네트워크


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6. 라우터

 

동일 프로토콜끼리만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최상의 경로를 찾아낸 뒤 다른 망으로 패킷을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기계(최적의 경로를 찾아내는 알고리즘이 탑재되어 있다)


각 호스트(근거리 통신망 등)에서 나온 신호는 게이트웨이(관문)을 거쳐 라우터로 가고 라우터를 통해 최적의 경로를 찾아내 ]


다른 호스트가 있는 게이트웨이를 지나 호스트에게 전달된다



참조: 나무위키


네트워크의 종류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학교, 가정, 사무실 등과 같이 제한적인 공간 내에 구축된 네트워크. 허브나 스위치 등의 기기로 서로 연결된다.


CAN(Campus Area Network)


다수의 근거리 통신망을 서로 연결하여 더 큰 규모의 네트워크를 만든 것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


WAN(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국가, 대륙


OSI 7 계층과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


레벨, 계층                                                                관련장비

 7 Application (응용 계층)

 

 6 Presentation (표현 계층)

 

 5 Session (세션 계층)

 

 4 Transport (전송 계층)

 게이트웨이

 3 Network (네트워크 계층)

 라우터

 2 Data link (데이터 링크 계층)

 브리지, 스위치

 1 Physical (물리 계층)

 허브, 리피터


인터넷 주소      


MAC 주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LAN카드)에 할당되는 고유의 값


공유기 등에서 각각의 기기를 식별하는 데에 사용


IP주소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가 갖는 고유한 주소  

       


반응형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의 이해  (0) 2017.09.23
Explorer의 문제점과 ActiveX 폐지 운동  (0) 2017.09.17
Domain과 URL 이해  (0) 2017.09.16
Protocol 프로토콜 이해  (0) 2017.09.16